제8회 영산상 심사 자료: 2년간 논문 전체

고문서연구 45호 (2014)

1. 박준호, 송대(宋代) 고문서(古文書)의 서명(署名) 방식(方式) 연구(硏究) -정존비(正尊卑) 명분수(明分守)의 예제체식(禮制體式) [pdf 보기]
2. 박성호, 조선초기 공신교서와 녹권의 발급제도 변경 시기에 대한 재론 [pdf 보기]
3.  김해영,『세종대왕태실석난간수개의궤(世宗大王胎室石欄干修改儀軌)』 에 대하여 [pdf 보기]
4. 김건우, 조선후기 어느 지역민의 지방관 인식 -구상덕의 『승총명록』을 중심으로- [pdf 보기]
5. 임상혁, 고문서에서 “明文”과 “成文”의 용례에 관한 연구 -고문서 분류체계의 일각에 대한 검토를 겸하여- [pdf 보기]
6. 이강욱, 대간(臺諫) 계사(啓辭)에 대한 고찰(考察) [pdf 보기]
7. 심재권, “자문(咨文)”을 통한 조선(朝鮮)과 명(明)의 중강개시개설(中江開市開設)과 혁파(革罷)과정 분석 [pdf 보기]
8. 정진영, 한중 고문서의 외형적 비교 고찰 -령남(嶺南)과 휘주(徽州)를 중심으로- [pdf 보기]
 

고문서연구 44호 (2014)

9. 이근호, 조선시대 국왕의 비망기(備忘記)연구 [pdf 보기]
10. 한상권, 조선시대 사송(詞訟)재판의 두 양태 -해남윤씨가 소장 결송입안(決訟立案)을 중심으로- [pdf 보기]
11. 카와니시 유야, 조선성종대(朝鮮成宗代)의 낙산사(洛山寺)관련 문서에 대한 분석 -세역(稅役)면제 문서와 사패(賜牌)- [pdf 보기]
12. 명경일, 정조대 전교축(傳敎軸)을 통해 본 승정원일기(承政院日記) 의 문서 등록(謄錄)체계 [pdf 보기]
13. 조계영, 조선후기 실록의 세초 기록물과 절차 [pdf 보기]
14. 조영준, 조선후기 궁방(宮房)의 등록(謄錄)작성과 고문서의 등서(謄書)실태 -『용동궁등록(龍洞宮謄錄)』,『용동궁공사책(龍洞宮公事冊)』의 기초 분석- [pdf 보기]
15. 안승준, 경주최씨의 용산서원(龍山書院)운영과 노블레스 오블리주 [pdf 보기]
16. 김혁, 조선후기 충청도 서해안 지역 상업 활동의 사회적 의미 -홍성군 성호리 김녕김씨가 소장 고문서를 중심으로- [pdf 보기]
 

고문서연구 43호 (2013)

1. 박준호, 당(唐)과 일본율령제공문서(日本律令制公文書)의 서명방식연구(署名方式硏究) -부칭성(不稱姓)과 략명(略名)의 예식(禮式)을 중심으로- [pdf 보기]
2. 설배환, 몽골제국에서 조령(詔令)의 대민(對民)전달 -분벽(粉壁)과 구두(口頭)사례 분석- [pdf 보기]
3. 박성호, 여말선초녹패(麗末鮮初祿牌)의 제도와 양식 [pdf 보기]
4. 이상현, 대역죄인 고신(告身)의 잔존사유(殘存事由)에 대한 일고찰 -김종직,정인홍 고신의 사례를 중심으로- [pdf 보기]
5. 임상혁, 1583년 김협,고경기 소송에서 나타나는 법제와 사회상 [pdf 보기]
6. 김경숙, 안정복의 민원정책(民願政策)과 관민소통(官民疏通) [pdf 보기]
7. 이혜은, 김효경, 조선총독부도서관의 안정복 장서 수집과 자료적 특징 [pdf 보기]
8. 김건태, 19세기 회계자료에 담긴 실상(實像)과 허상(虛像) -1818∼1945년 전라도 장흥군 용산면 상금리 수원백씨 문계(門契)자료- [pdf 보기]
9. 정진영, 섬, 풍요의 공간 -19세기 중반 한 유배객의 임자도 생활- [pdf 보기]
 

고문서연구 42호 (2013)

10. 박성종, 조사(朝謝)의 사용 의미와 문서식(文書式) [pdf 보기]
11. 심재권, 조선(朝鮮)과 明의 실무적 외교문서 “자문(咨文)” 분석 [pdf 보기]
12. 정진영, 조선시대 향촌 제 조직(組織)과 규약(規約)의 “계약(契約)” 적 성격 [pdf 보기]
13. 문현주, 조선후기 한성부(漢城府)에서의 호구단자(戶口單子), 준호구(準戶口) 작성 과정에 관한 再考 [pdf 보기]
14. 김두헌, 조선 후기 경아전(京衙前) 서리(書吏) 가계 사례 연구:신득린(申得麟)(1734~?) 가계 [pdf 보기]
15.김봉곤, 智異山圈(南原)士族 朔寧崔氏 家系記錄과 通婚圈 [pdf 보기]